요새 미국 소셜미디어에서 자신의 첫 7개 직업이 무엇이였는지 밝히는게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해쉬태그 #firstsevenjobs). 내 첫 직업들은 뭐였었나 생각해 봤는데, 별로 재미있는 아르바이트를 많이 못해 본 것 같다. 10대 후반이나 20대 초반에 돈 아니라 경험을 위해서라도 좀 더 다양한 일을 해봤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아무튼 내 첫 7개 직업은 아래와 같다.
- 과외교사 – 대학 1학년때부터 용돈 벌 요량으로 주로 고등학생들 영어, 수학등 방문지도. 한 학생당 일주일에 두번가고 매번 2시간 정도는 했던것 같음. 어떤 학생은 잠실 올림픽 선수촌 아파트에 살아서 학교에서 가려면 1시간도 넘게 걸렸는데, 그래도 부모님에게 손벌리기 싫어서 마다 않고 열심히 벌었음. 한 학생당 40만원 정도 받았던 것 같은데 당시로선 짭잘한 수입.
- 도서관 수위 – 대학시절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에 교환학생 비스무리한 것으로 1년 다닌 적이 있는데, 파키스탄 룸메이트가 추천해준 꿀 알바. 공식 명칭은 ‘Student Police Aide’로 학생 신분이지만, 동네 경찰과 교신할 수 있는 무전기를 공급받고 교내를 순찰하는 직업. 영어 못해도 문제 없었음. 내가 주로 근무한 곳은 학교 도서관 출입구에서 책 훔쳐나가는 사람 없나 감시하는 일. 실제 그런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자리에 앉아서 책 읽거나 숙제하면서 자리만 채워도 시간당 약 6불 받았던 기억. 가끔 저녁에 캠퍼스 순시하고 있으면 학생들이 내가 경찰인줄 알고 이런저런 신고나 부탁을 해서 웃겼음 ^^ (이 학교 주변 물정은 미국온지 3달된 나보다 니가 더 잘 안다구 ㅋㅋ)
- 통역 – 한국에 돌아와서 복학후, 출장나온 미국인들 통역 알바를 함. 주로 해당 미국인의 호텔에서 한국 회사들에 대신 전화 걸어주는게 임무였고, 종종 비지니스 미팅에 따라가서 서툰 영어로 통역. Broken English였지만 뜻만 통하면 별로 개의치 않는 눈치였고, 오히려 내가 한국에서도 영어를 계속 연습할 수 있어서 좋았음. 친구들에게도 소개시켜 줘서 재미있게들 알바 뜀. 어린나이였지만 이런 중개사업을 해볼까 하는 생각도 잠깐 했었는데.
- 대기업 인턴 – 대학 4학년 학사 일정을 겨울에 마치고 유학을 떠나기전 공백기간이 약 7개월은 족히 되므로 뭔가 해야할 것 같아서 대기업 인턴을 신청. 모기업 전자회사 였는데, 나름 전자공학도 출신이라 의미있는 일을 할 줄 알았지만, 막상 5개월동안 한 일은 오전내내 타이핑 (책을 워드로 옮기는 일) 내지 복사같은 잡일. 물론 오후엔 시뮬레이션같은 것도 돌렸지만 일이 너무 단조롭다고 느낌. 기업문화도 숨막힐 것 같았음. 얻은 것이라곤 ‘나는 대기업과 잘 안맞는구나’ 하는 사실을 일찍 깨달은 것.
- 연구 조교 (Research Assistant) – CMU로 유학온게 98년 이였는데 당시 IMF 여파로 살인적인 환율에도 유학을 나올 수 있었던 것은 학교에서 Research Assistant 자리를 주며 학비와 생활비를 보조해 줬기 때문. 직업이라고 하기는 좀 힘든게, 그냥 교수님의 지도를 받으며 석사 대학원생으로서 당연히 해야할 연구를 하는 것. 행정 잡일은 전혀 없었음. 매달 세금 제하고 $1100(약 120만원)정도의 월급을 받았는데, 당시에 와이프와 같이 살던 원베드 아파트 렌트비가 $605불 이였고, 나머지 $500불로 둘이서 어떻게든 한달을 살아보려 발버둥 쳤다 ㅎㅎ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CMU에서 석사를 졸업하고 얻은 첫 직업. Neolinear라는 피츠버그 소재 스타트업으로, 반도체 디자인 CAD 툴을 만들었다. 당시 개발자로서 나의 코딩 실력은 내가 봐도 참 형편없었는데, 단지 컴싸 전공자들 보다는 반도체를 좀 안다는 구라로 들어갈 수 있었다. 다행히 골치아픈 C++는 많이 안써도 되었고, TCL이나 LISP류의 스크립트 언어로 근근히 먹고 살 수 있었음
-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 – 위 회사에서 CMU 출신의 동료 개발자 들의 솜씨를 보자니 거의 넘사벽 수준이였음. 일예로 바로 내 옆자리 친구는 Caltech학부와 CMU대학원을 나왔는데, 코딩 짜는 속도가 내 타이핑 속도보다 빨랐음 (절대 과장 아님). 당장 짤리지는 않겠지만 장기적으로 내 실력으론 경쟁력이 없다는 걸 깨닫고, 코딩 많이 안해도 되는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가 되기로 자원. 주로 커스터머 만나서 지원해주고 문제도 해결해 주고 교육도 하는 일. 기술적인 일이지만 회사 밖 사람들을 많이 만나고 개발 이외의 세상에 눈을 뜨게한 좋은 경험.
잘 읽었습니다. 읽고 나서 나도 한번 최초 7개의 직업을 한번 써보고 싶어졌네요. ㅎㅎ
기대하겠습니다 ^^
코딩 짜는 속도가 내 타이핑 속도보다 빨랐음 (절대 과장 아님) <= 이게 어떻게 가능하죠? ^^
그걸 눈으로 목격한 저는 심정이 어땠겠어요? ㅎㅎ (그친구가 뭔가 예제 코딩을 짜면서 저에게 설명해 주는데, 저라면 소스를 보고 옮겨적는 타이핑이라도 저렇게 빨리 치지 못할 정도의 스피드였습니다 ^^. 물론 간단한거니 가능한거고 생각을 많이 해야 하는 코딩은 이렇게는 못하겠죠)